EBS 지식채널 ⓔ 꼭 찾아야 하는 사라진 25종

EBS 지식채널 ⓔ 에서 제작한 ‘소말리코끼리땃쥐를 찾아라!’ 영상은 세계야생생물보존협회(GWC)가 2017년부터 진행한 프로젝트 ‘꼭 찾아야 하는 사라진 25종(25most wanted lost species)’ 프로젝트가 소개되었습니다.

전 세계 과학자들이 모여 1,200종이 넘는 후보 중 다양한 분류군을 대표하는 등 여러 기준에 맞춰 최종 선택한, 공식적으로는 ‘멸종’이 선언되지 않았지만, 한 종 당 반세기가 넘게 야생 상태에서 발견되지 않은 25종에 대한 추적과 발견 과정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2017년 부터 진행된 이래 지금까지 총 8종을 발견했습니다. 책임자인 로빈무어(생물학자)는 ‘이 프로젝트는 멸종위기 종을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이 프로젝트의 취지와 의지를 보였습니다.

세계 야생생물 보존협회(GWC)가 시작한 프로젝트 팀이 발견되지 않는 동물을 찾기 위해 찾아나서는 모습


한 종 당 반세기 넘게 25종을 모두 합쳐 1500년이라는 기간 동안 야생 상태에서 발견되지 않은 25종을 발견하는 여정이 5분 13초 안에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윌리스 거인 꿀벌(WALLACE’S GIANT BEE)’


윌리스 거인 꿀벌 (WALLACE'S GIANT BEE) 사진 캡처

윌리스 거인 꿀벌 WALLACE'S GIANT BEE)이 병 안에 있는 사진 캡처


2019년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의 한 섬, 거대 꿀벌이 지나간 흔적을 추적하던 북미·호주 탐사대에 의해 지상 2미터 높이의 흰개미 집에서 서식중이던 윌리스 거인 꿀벌을 발견하였습니다. 날아다니는 불독이라 불리며, 38년만에 찾아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꿀벌로 몸길이가 최대 4cm, 날개 길이는 6.35cm이나 됩니다.


소말리코끼리땃쥐


소말리코끼리땃쥐 사진캡처


쥐처럼 작은 몸집 커다란 귀와 눈 기다란 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코끼리로 아프리카 소말리아가 주 서식지를 삼으며, 1968년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습니다.

2020년 아프리카 북동부 지부티에서 발견된 소마리코키리땃쥐입니다. 주민들사이에서 멸종동물의 목격담을 듣고 실제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년 동안 끈질긴 탐사 진행 후 52년 만에 발견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은 종들

  • 디윈턴황금두저지(De Winton’s Golden Mole) – 1936년 남아프리카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습니다.

디윈턴황금두더지의 분포도와 보존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 히말라야 메추라기(Himalayan Quail) – 1876년 인도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습니다.


히말라야 메추라기 (Ophrysia superciliosa ) 사진캡처



  • 오밀테메솜꼬리토끼(Omiltemi Cottontail) – 1900년대 초 멕시코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습니다.



  • 분홍머리 오리(Pink-headed Duck) – 1949년 인도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되었습니다.